실업급여 계산기: 정확한 금액 확인 방법과 신청 절차-쉬면서 급여받기
1. 실업급여란?
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는 구직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조건하에 지급되며,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.
2. 실업급여 계산기란?
실업급여 계산기는 본인의 예상 실업급여 수급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. 이는 고용보험 가입 기간, 평균임금, 퇴직 사유 등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 이를 통해 실업급여 신청 전 대략적인 지급 금액과 지급 기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
3. 실업급여 계산 방법
실업급여 계산기는 아래와 같은 공식에 따라 금액을 산정합니다.
- 1일 실업급여액 = 평균임금의 60% (2024년 기준, 최저임금 대비 최소 금액 적용)
- 총 지급액 = 1일 실업급여액 × 지급 일수
지급 일수는 근무 기간과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.
고용보험 가입 기간50세 미만 지급 일수50세 이상 및 장애인 지급 일수
1년 이상 3년 미만 | 120일 | 180일 |
3년 이상 5년 미만 | 150일 | 210일 |
5년 이상 10년 미만 | 180일 | 240일 |
10년 이상 | 210일 | 270일 |
실업급여 게산기 바로가기
▼ ▼ ▼ ▼ ▼ ▼
'
4.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 방법
- 고용보험 가입 기간 입력: 총 근무한 기간을 입력합니다.
- 평균 임금 입력: 최근 3개월 동안 받은 급여의 평균치를 계산합니다.
- 연령 및 퇴직 사유 선택: 본인의 나이 및 퇴직 사유(비자발적 퇴사 여부)를 선택합니다.
- 계산하기 버튼 클릭: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예상 실업급여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
5. 실업급여 신청 방법
(1) 실업급여 수급 요건
- 비자발적 실업(권고사직, 계약만료 등)
- 이직 전 18개월 동안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
- 적극적인 구직 활동을 증명할 것
(2) 신청 절차
- 퇴직 후 14일 이내 고용보험 사이트 https://www.ei.go.kr 에서 실업급여 신청
-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후 실업급여 설명회 참석
- 구직활동을 증명하며 수급 진행
- 실업급여 지급
6. 실업급여 관련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계약직 근로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 계약 만료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실업 상태가 된 경우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Q2. 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?
A. 일반적으로 불가능하지만, 예외적으로 직장 내 괴롭힘, 임금 체불 등의 사유가 있다면 가능할 수 있습니다.
Q3. 실업급여 지급 중 알바를 하면 어떻게 되나요?
A. 일정 금액 이상 소득이 발생하면 실업급여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반드시 고용센터에 신고해야 합니다.
7.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하는 이유
실업급여 계산기를 사용하면 예상 지급액과 지급 기간을 미리 파악할 수 있어 계획적인 재취업 준비가 가능합니다. 또한, 본인의 실업급여 수급 자격 여부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